본문 바로가기
취준 꿀팁/인적성 공부 팁

인적성 유형 별 접근방법, 공식, 시간 단축 팁 1탄

by 일개미 | corporate ant 2023. 2. 15.
반응형

인적성 유형별 접근방법, 공식, 시간 단축 팁 1편

 

 

인적성때문에 취업이 안 될지도 모르겠다...

 

인적성을 풀면서 제가 느낀 바 였습니다.

그만큼 인적성이 저에게는 크나큰 복병이었어요.


그래서 "내가 왜 못 하는 것일까", 고민해보았고

인적성 성적이 잘 안 나오는 이유를 3개로 구분할 수 있었어요.

 

시간제한 없이 문제 풀었다는 가정 하에,

[ 맞는 문제 ]
1. 시간 부족 (→시간 제한이 있었다면 못 풀고 틀리기 때문)

[ 틀리는 문제 ]
1. 실수 (문제·조건을 잘 못 읽었다, 계산을 잘못했다)
2. 접근 방법, 풀이를 아예 모름

 

사실 여느 하나 하루 아침에 개선되기 쉽지 않아요.


그래서 인적성은 초기에 실력 파악을 미리 하는 게 중요한 것 같더라고요.

실력 파악은 실전모의고사 몇회 풀어보는 방식으로 하실 수 있어요.

 

아래 글에 무료 적성검사 응시 방법 및 사이트도 적어두었으니, 참고해주세요!

 

 

적성검사 공부 방법, 에듀스 무료 적성모의고사로 취약유형 20분만에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일개미가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ㅎㅎ (머쓱) 오늘은 취업준비 단계 중에 골머리는 많이 썩히는 인적성검사 관련하여 꿀팁을 들고왔어요. 인적성 시험 준비는 시즌 전부터 시작해

jobhuntinginseoul.tistory.com

 

위에 나오는 사이트와 같이 일부 사이트의 경우

경쟁자 대비 본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대평가 시스템이 제공되어있기도 합니다.

 

온라인 에듀윌 문제집을 구매하셔서 실전모의고사를 에듀윌 사이트에서 푸는 경우에도

상대평가 시스템을 통해 본인의 위치 (상위 00%) 확인할 수 있어요.

 

 

하지만, 그런 시스템이 없는 경우

절대 점수로는 GSAT 기준 37+/50이어야 한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실력 파악 후

 

✅ 안정적으로 상위권으로 나오면 시사, 자기소개서, 면접 등에 시간을 더 할애하고,

그런 경우가 아니면 하루라도 빨리 인적성 공부를 시작해야해요.


예측 가능하실 수 있지만...

저의 경우 후자에 해당했어요.

 

그래서 제가 인적성 강의를 듣고, 또 문제를 풀면서

인적성 공부 시 도움되었던 정보를 정리해보려해요.

📌 인적성 시간 단축 팁

📌 주요 문항(유형)별 접근방법, 공식


 

수열

문자수열 관련한 접근방법이에요.

문제 내 제시된 수열이 다음의 3가지 중 해당하는 게 있는 지 먼저 확인해보세요.

 

- 소수: 1, 3, 5, 7, 11, 13, 17 ...

- 제곱수: 1, 4, 9, 16, 25, 36, 49 ... 

- 피보나치 수열: 1, 1, 2, 3, 5, 8 ...

 

*피보나치 수열의 경우, 5개 이상의 항목이 있어야 파악 가능합니다. 그보다 적은 경우는 아닐 가능성이 높겠죠!

(예: 1, 3, 5 ... 파악하기 어려움 ↔ 1, 3, 5, 8, 12 ... 파악 가능)


도형수열 관련 접근방법이에요.

 

- 대칭성 (도형이 정방형인 경우)

- 방향성: 도형 내 수열을 어떤 순서로 볼 지 정해보세요. (예: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위-아래, 아래-위, 좌우 ...)

 

 

 

도형추리

도형추리의 경우,

'?'에 나올 도형 패턴을 예측하는 문제가 많은데요.

예: (도형 1) → △ → ■ → (?)

 

다음의 방법을 접목해보세요.

 

- 도형 내 색 반전이 있는가?

- 도형 내 일부분이 이동했는가?

- 도형이 회전 혹은 대칭 되었는가?

- 도형 중 확대-축소된 부분이 있는가?

- 도형이 총 2+개로 구성되었을 시, 도형 내외부가 교체되었나?

- 선 혹은 도형이 추가, 제거 되었는가?

- 겹쳤을 때 합이 될 수 있는 것을 구해야하는가?

 

정말 여러가지 패턴, 방법으로 출제되어서 위의 방법들로 모든 문제가 바로 해결된다고 하기는 어려워요.

하지만, 맨땅에 헤딩하는 것보다 위 방법을 먼저 접목해보시면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되실 것이랍니다.

 

 

 

응용수리: 거속시, 소금물, 일/작업

**비례배분 접목**

이 개념은 글로서 말씀드리기가 어려워, 참고하시기 좋은 영상 링크를 첨부할게요 :)

(*바쁘신 분들은 4분부터 봐주세요!)


1. 속력

- 속력*시간 = 거리

- 시간 = 거리/속력

 

2. 소금물 (=농도)

- 소금물의 농도 (%)  = 소금의 양/소금물 양 * 100

- 소금의 양 = 소금물의 농도/100 * 소금물의 양

 

3. 일/작업

- 칸 채우기 (=하루에 하는 일을 블록단위로 변환)

*제시된 대상의 공배수를 구하기가 포인트에요!

[예제]
갑 혼자는 36일, 을 혼자는 24일 걸린다. 갑과 을이 같이 6일 작업하고, 나머지는 을이 혼자 작업하면 며칠 더 일해야하는 가?

[TIP]
공배수는 72, 즉 일의 총량을 72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갑은 하루에 블록을 2개씩, 을은 하루에 3개씩 쌓는다.
이 부분을 뇌에 담고 문제를 풀면됩니다.

[풀이]
{(갑이 하루 일하는 양) + (을이 하루 일하는 양)}*6일 + (을이 하루 일하는 양)*(?) = 72
(2+3)*6 + 3*x = 72
3x = 42
x = 14

답: 을은 혼자 14일 더 일해야한다.

 

 

- 제거하기

해당 영상을 통해 일률 문제를 정말 쉽고, 빠르게 풀 수 있었어요.

 

 

예제를 사진으로 보여드릴게요.

검정색은 흔히 풀 수 있는 '직접 풀기' 방법이라면,

파랑색 필기가 영상의 '제거하기' 접근법을 적용한 방법이에요.


우선 1편에서는 수열, 도형추리, 응용수리 (거속시, 소금물 농도, 작업량) 관련해서 팁을 드렸어요.

2편에서는 도형추리 part 2, 수리논리, 자료해석 관련 팁, 접근방법으로 돌아올게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Copyright ⓒ 2022-2023 by 일개미 | futurecorp.ant. All Rights Reserved.

 

반응형

댓글